지능형 정부의 정책 이슈 / 정충식 외 / 윤성사

정충식, 고대식, 김판석, 신영진, 이재호, 정준화, 최운호, 최호진, 홍길표 저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 총서로 발간되었습니다. 책정보: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0512322   지난 2016년 1월에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의 주제는 ‘제4차 산업혁명의 이해(Maste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였다. 2016년의 다보스 포럼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을 여러 글로벌 경제적 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선정하고, 이를 위한 다양한 논의의 장이 마련되었다. […]

성공한 대통령 VS. 실패한 대통령 (디지털 정부혁신의 관점에서) / 정충식 / 서울경제경영

성공한 대통령 VS. 실패한 대통령 | 디지털 정부혁신의 관점에서 |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에게 주는 충고 정충식 저   책정보: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8844870 목차 머리말 ㆍ iii 제1장 디지털 정부혁신과 대통령의 리더십 1 1. 성공한 대통령이 없는 나라? 3 1) 역대 대통령별 지지도 변화 추이 3 2) 정부혁신 관점에서의 평가 필요성 6 2. 역대 정부의 행정개혁과 정부혁신 7 1) […]

AI와 미래행정 / 엄석진 외 / 박영사

엄석진, 김동욱, 김병조 교수 참여   책정보: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8872579 목차 Ⅰ 총 론 01 AI 정부: 개념, 논쟁, 그리고 전망 엄석진(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 02 AI 개념과 기술의 역사적 발전 김홍기(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44 Ⅱ AI 활용과 공공가치 및 법제도 01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한 AI의 윤리적 이슈 박정훈(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82 02 민주주의에 대한 지능정부의 잠재적 위협에 관한 고찰 권혁주(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정부의 디지털 혁신 / 엄석진 외 / 문우사

책정보: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7467594   목차 머리말 제 1 장 정부의 디지털 혁신 Ⅰ. 서론: 행정혁신의 동인으로서의 정보기술 Ⅱ. 전자정부 1. 전자정부의 정의 2. 전자정부 서비스의 구분 3. 전자정부의 고도화 Ⅲ. 스마트 정부 1. 스마트 정부의 등장 배경 2. 스마트 정부의 개념 3. 스마트 정부의 특성 및 다양한 측면 Ⅳ. 결론 참고문헌 제 2 장 정부의 디지털 […]

세종시민대학 정책아카데미 “스마트시티” (2.16.~4.6.)

◈ 교육일정 : 2. 16~4. 6(매주 화요일) 16시~18시 ◈ 교육장소 : 유튜브(세종e채널, 세종알리미) ◈ 교육대상 : 시민 누구나 ◈ 교육주제 : “스마트시티” ◈ 차시별 교육내용   – 2월 16일 : 황종성(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연구위원) “세계를 여는 스마트시티 -한국의 스마트시티와 미래 도시”   – 2월 23일 : 정충식(경성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한국과 중국의 스마트시티 추진정책 비교 -중국의 슝안신구와 한국의 […]

2020 한국행정학회 동계공동학술대회: SSK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 세션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는 2020년 12월 10-11일 서울대학교에서 온-오프라인 병행으로 개최된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지능정보화시대의 빅데이터 활용과 지속발전 가능한 사회 모색” 세션을 주관하였습니다. 또한, 같은 학회에서 “정부의 미래 2030” 세션을 한국행정학회 정부의 미래연구회(회장: 정충식 경성대교수)와 공동주관하였습니다.   서울대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  지능정보화시대의 빅데이터 활용과 지속발전 가능한 사회 모색 ㅇ사회: 박정훈(서울대) ㅇ발표: 은종환(서울대)/한익현(서울대), 프레임 분석을 통해 살펴본 데이터 3법 형성과정에서의 쟁점과 시사점 […]

대한민국 정부 2030 / 정부의미래연구회,지능정보사회정책연구센터 / 문우사

책 정보(링크) 머리말 1. 델파이 진행 경과 2017년 서울대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의 연구진과 외부 전문가들이 지능정보사회 도래에 따른 미래 공공부문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2회 델파이방식으로 공공부문의 변화와 대응과제 도출 작업을 한 적이 있다. 향후 5∼10년 동안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그리고 그 변화의 긍정적․부정적 영향은 무엇인지, 우리가 지금부터 어떻게 대응하여야 할지에 대하여 12명의 전문가 패널에게 질문하고 […]

세종시 정책아카데미 “디지털 전환 시대의 스마트시티” 취소 안내

본 행사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라 취소되었습니다.   세종시 인재교육평생교육진흥원이 주최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이 주관하는 “디지털 전환 시대의 스마트시티”를 안내 드립니다. -일정: 8.25~9.29 매주 화요일 16:00~18:00 -장소: 세종시청 4층 여민실 -문의: 044-865-9679 (세종 인재교육평생교육진흥원)         cispssk@gmail.com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 전임연구원 채용공고

서울대학교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 전임연구원 채용공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는 한국연구재단의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SSK) 대형연구센터로서 “지능정보사회 도래에 따른 공공부문의 역할과 과제”라는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임연구원을 다음과 같이 모집하오니 많은 분들의 응시를 바랍니다.     1. 모집부문 및 응시자격 1) 전공분야 : 행정(정책)학, IT정책, 경제학, 경영학, 정치학, 사회학, 언론학, 법학, 도시행정, 도시환경 등 관련분야 2) 모집인원 […]

2020 한국행정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 SSK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 세션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는 6.25.(목) ~ 6.26.(금) 강릉에서 진행된 “2020 한국행정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에 “서울대 SSK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8회의 4분과)” 세션을 개설하여,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습니다. ————————————————— 6/26(금) 9회의 (15:10-16:40) ㅁ 사회자: 정충식 (경성대 교수) ㅁ 발표1. 김구민(서울대 연구원) – 단절균형이론(Punctuated Equilibrium Theory)과 High-Tech 고용 결정요인 분석 ㅇ 토론1: 유지성 (건국대 교수) ㅁ 발표2. 최한별, 김경동(서울대 박사과정) – 토픽모델링과 토픽구조의 […]